양재문 개인전 風流

Yang Jaemoon
2023 12/21 – 01/01
3 전시장 (3F)

風流
Yang Jaemoon Photography Exhibition
양재문展 / 갤러리인사아트 3F
2023.12.21~2024.1.1

작가노트

지난 작업을 돌이켜 보면 몇 차례 변곡점이 있었다. 초기에는 젊은 날의 한(恨)이 담긴 은유적 사유와 카메라로 담기는 시간의 의미에 천착된 흑백사진들이다(1994,풀빛여행). 그 후로 자아에 대한 성찰을 위하여 한 동안 사진일기를 찍었다(2000,사진일기). 그러나 고독의 공허함은 자신으로부터의 도피 행각처럼 유서 깊은 유럽의 도시들을 여행하며 방황하였다. 분명 이 생에 처음 발길인데 언젠가 그 곳에 있었던 것처럼 느껴지는 환각에 빠져들곤 하였다(2008,흐르지 않는 시간). 이러한 상황들은 사진에 존재하는 시간성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켜 주었다. 그리하다 어느 날 문득 천상을 꿈꾸게 된다. 꿈이었다. 하지만 한을 신명으로 풀어내는 꿈이었다(2016,비천몽). 그렇게 희망의 꿈은 자연스레 위로의 선물이 되었고, 지난 날들의 상처에 대한 트라우마가 해소되면서 주변까지 돌아 볼 수 있게 되었다(2018,아리랑판타지). 또한 공동체의 삶도 엿볼 수 있게 되면서 화해와 관용의 의미도 되새겨 볼 수 있었고(2019,처용나르샤), 민초의 흥과 멋을 엿 보게 된다(2021농악). 듀센 미소를 생각해 본다. 꽃을 보며 자연스레 웃음짓는 미소야 말로 진정한 웃음일 것이다. 하여 꽃잎과 함께하는 춤꿈도 꾸어 보았다(2023,화접몽). 입동이 지났으니 이제 겨울이다. 곧 겨울이 깊어질 것이다. 지나 온 사진인생을 돌이켜 보면 모든 것이 어떤 이끌림 따라 흘러 온 꿈결같다. 남도민요 끝자락에 뜬금없이 자주 등장하는 “아니 놀고서 무엇을 헐꺼나” 라는 대목을 흥얼거릴 때 마다 이게 뭔고? 하는 생각이 들곤 하였으나 이제야 조금 알 것 같다(2023,풍류). 겨울가면 그리고 또 봄이 오겠지요.

작가소개

양재문은 1994년 풀빛여행展을 시작으로 2023년 6월 비천몽 나르샤展에 이르기까지 24회의 주요개인전을 통해 춤 사진을 발표하였다. 양재문은 전통춤을 추상적으로 표현하여 작가 내면의 한과 정서, 나아가 우리 것의 아름다움과 우리 민족의 정서를 신명으로 풀어내며 절대미감으로 표현해왔다. ‘한국의 전통적인 미’를 구현해온 그의 작품은 아부다비, 나이로비, 마이에미 등 해외에서 각광을 받았으며, 국립현대미술관 정부미술은행과 문화유산 국민신탁, 크라운해태 `아트밸리`, 아원고택 미술관, 나이로비 국립박물관, 갤러리 그림손, 아트스페이스J 등에 소장되어 있다.

작품설명

 양재문 풍류 #01 60x44cm 한지
양재문은 한국 전통춤 사진을 통해 자신만의 색깔로 우리 것의 아름다움과 우리 민족의 흥과 멋을 표현해왔다. 춤사위에서 만들어지는 찰나의 시퀀스적인 광적들을 추상으로 표현하는 그의 작업은, 감성을 자극하여 시상(詩想)을 떠오르게 하는 마법, 분명 사진인데 보는 이는 번짐의 시간을 목도한다. 이번 <풍류> 시리즈 작업은 그 동안 작가가 추구한 한국 전통춤에 대한 재해석과 일상의 스토리텔링이 담겨져 관람객과 그 의미를 소통하려 한다. 이번 전시에서 추구하는 것은 그의 춤사진 인생에 대한 회고와 걸어온 길에 대한 감사 그리고 한국적인 은현의 미에 대한 풍류이다.

 


 

 

우리 민족지의 고층(古層), 풍류를 초혼재생하다

양재문의 사진전에 부쳐

 

최재목(문화평론가, 시인, 영남대 철학과 교수)

 

소멸상실을 초혼재생하다

나무를 태우는 불은 결국 스스로를 없애 버린다. 완성은 곧 소멸이다. 이처럼 춤의 목적은 그 자체를 불태워서 결국 스스로를 무효화하는 것이다.

춤은 자신을 태워서 광채를 드러내는 일이며 결국 지쳐서 스스로를 없애버림으로써 끝난다. 이런 역설에서 살아남는 진실은, <춤은 그 자체로 ‘환(幻)=‘마야(maya)’>라는 사실이다. 춤은 환을 좇으며, 그것을 완성하고 죽어간다. 춤은, 스스로를 불태우는 순간순간의 꽃잎을 서로서로 물고 있다. 그래서 처음도 끝도 없이 연결된 한 송이의 꽃이다.

양재문 작가의 사진에는 이 꽃 한 송이의 영혼을 불러내어 재생하는 안간힘을 볼 수 있다. 마치 보들레르나, 프루스트나, 발터벤야민이 붙들고 싶어 했던, 스쳐지나가는 불꽃=순간처럼, 양재문 작가도 그것을 붙들고자 한다.

작가의 사진에는 잃어버린 순간, 그 찰나 찰나의 기억이 자리해 있다. 사진은 섬광처럼 사라진-스러진 존재들의 집이다. 거기에는 수많은 손짓, 발짓, 몸짓…의 ‘짓’, 허공에서 꽃잎을 피우고 떨구고, 피어나고 떨어져 내리는 옷깃, 눈빛, 그리고 치맛자락이 신내림처럼 쌓여 흩날린다.

모든 존재는 마야=환[幻]이고, 그것이 바람따라[風] 출렁인다[流]. 이런 상실과 소멸을 초혼재생(招魂再生) 시키려는 예술가가 있다. 양재문 작가이다.

 

바람따라[] 출렁이는[] 형식

모든 존재는 결국 허물어진다. 허물어진 다음에는 다시 그곳으로 똑 같게 되돌아갈 수는 없다. 매 순간 순간 존재들은 허물어지고 생성되며, 자신을 부정하면서 살아남는 것을 반복한다. 스스로를 상실하면서 복기(復棋)하는 이런 ‘존재’의 변화는 결국 ‘차이’를 반복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 반복 속에 ‘겹침’의 현상=환상이 동일한 무언가가 있다고 착각하게 만든다. 그 존재는 흔적을 남기며, 자신의 위치를 알린다. 먼저, 움직임이다. 다음으로, 이 움직임은 ‘드러나는 힘’과 ‘숨는 힘’을 갖는다. 드러나는 힘은 또렷한 빛이자 색깔 즉 양율(陽律)이고, 숨는 힘은 그림자의 흐릿함과 모호함 즉 음려(陰呂)이다. 이 음양의 두 힘은 존재가 ‘바람따라[風] 출렁이며[流]’ 드러났다가 숨다가 하는 자연의 형식이다. 이 형식의 ‘신묘함[妙]’은 귀신처럼 종잡을 수가 없다. 그러나 이런 신묘함을 뒤쫓는 집요한 작가가 있다.

양재문은 존재의 신묘한 형식을 ‘뒤쫓아=찾아’ 보여주려고 한다. 마치 샤먼[巫]처럼 자신이 본 신묘함을 우리들에게 말해주고자=보여주고자 한다. 그는, 대지 위에 서서[壬], 천지의 소리를 ‘듣고[耳]’서 ‘입[口]’으로 전해주는 이른바 샤먼[巫]인 것이다.

 

우리 민족지 고층(古層)의 넋을 찾다

샤먼은 천지와 인간 사이에 서서 천지의 신묘한 ‘소리’(=힘, 빛, 색깔, 움직임…)를 우리들에게 전해주려는 자이다. 그런 역할을 하는 사람이 정치와 종교에서는 ‘성(聖)’이라 한다.

이처럼 ‘샤먼에서 성(聖)으로’ 전화(轉化)하는 문화의 고고학을 양재문의 사진에서 읽어낼 수 있다. 샤먼이 걸어온 흔적을 사진이라는 형식으로 펼쳐서 보여준다.

양재문의 사진을 따라가다 보면, 글쎄, 우리 민족지(民族誌. ethnocartography)의 고층(古層)에 자리한 화랑(花郞)도 만나고, 무당도 만나고, 건달(乾達)도 만나고, 비천(飛天)도, 농민도, 선비도, 평민의 남녀노소도, 설움도, 아쉬움도, 멋도 두루두루 다 만난다. 결국 이것은 우리들 문화유전자 속에 이어지는 풍류(風流)의 ‘넋’을 목도하고, 전해주며, 함께 즐기는 일이리라. 바로 이 풍류의 넋을 초혼재생하려는 것이 양재문 작가의 소명이다.

 

(, maya), ‘있으나 없는곳으로

양재문 작가가 사제(司祭)가 되어 보여주는 전통 춤사위 사진 작업은 우리 민족지의 오래된 지층=고층(古層)에 화석화된 넋을 일깨워 소생시키는 일이라 본다.

이 고층(古層)엔 ‘차이를 보이면서 반복하는’, ‘있으나 없는’ 민족지적인 춤사위가 오래된 생명의 숨결로서 약동하고 있다. 그 숨결은 불꽃처럼 찰나의 생멸 속을 스쳐 지나가고, 여러 공간에 흩어져서, 산 자들의 육신을 통해 전해진다. 그런 순간의 형식을 작가는 포착하고 싶다. 그러나 이 형식은 타오르는 동시에 사그라지는 불꽃이므로, 작가는 수많은 시도를 통해 그 두 얼굴을 붙들어낸다.

사진을 통해 양재문 작가가 초혼재생 시키려는, 저 반복 속 겹침의 현상=환상. 이것은 – 천지의 소리를 중개하여 전해주던 샤먼[巫]의 입처럼 – 우리 민족지 그 무명(無明)의 심층 속에 바람따라[風] 출렁이는[流] 넋이리라.

이런 풍류는, 사진이라는 이미지의 허구=허망에 기대어[卽虛] 진실을 드러내기에[顯實] ‘따스한, 눈물겨운 니힐리즘’이라 말하고 싶다. 그러나 우리 민족지의 고층(古層)에 숨 쉬는 풍류를 초혼재생 하려는 작가의 신산한 노력은 여전히 희망 쪽에 서 있다.

환(幻, maya) – ‘있으나 없는’ 곳으로 다가서려는 작가의 피어린 여정에 진심어린 경의를 표한다.